• 흐림동두천 6.0℃
  • 흐림강릉 9.2℃
  • 서울 7.7℃
  • 대전 8.2℃
  • 대구 10.7℃
  • 울산 10.1℃
  • 구름많음광주 11.4℃
  • 흐림부산 11.5℃
  • 구름많음고창 ℃
  • 맑음제주 15.1℃
  • 구름조금강화 7.8℃
  • 흐림보은 9.1℃
  • 흐림금산 8.3℃
  • 구름조금강진군 13.2℃
  • 흐림경주시 10.2℃
  • 구름많음거제 13.1℃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마른 당뇨와 비만 당뇨" 인슐린부족 과 인슐린 저항성"

당뇨병 환자들 중 당뇨 관리를 하는데 자꾸 체중이 줄어 들어요 하는 사람이 많다. 

여기 비만 당뇨와 마른 당뇨에 대해 알아보자.


당뇨병 환자중  마른 당뇨병 환자가 주를 이루던 것과 달리 최근 인슐린 저항성을 지닌 비만, 대사증후군 환자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제2형 당뇨병 주원인된 '인슐린 저항성이다.  당뇨병 원인'인슐린 분비부족'과 '인슐린 저항성'이다. 인슐린 분비부족은 말 그대로 체내에서 충분한 만큼의 인슐린이 나오지 않아 문제가 되는 것이고 인슐린 저항성은  인슐린의 효율이 떨어진 것이다.  인슐린 분비부족은 '마른 당뇨병' 환자들, 인슐린 저항성은 '비만한 당뇨병' 환자에서 나타난다.


과거 한국인을 포함한 아시아 환자는 인슐린 분비부족이 주원인으로 작용한 환자가 더 많았다. 하지만 최근 비만, 대사증후군 증가 등으로 인한 당뇨병 환자가 급증하면서 인슐린 저항성 더 중요해졌다. 전체 당뇨병 환자 중 비만인 환자가 50%이고 과체중 환자 역시 25%에 달한다. 정상 체중인 환자는 25%에 불과하다.


 인슐린 분비부족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 당뇨병 환자의 중요한 특징 이지만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에서 비만 환자가 늘어나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당뇨병의 가장 큰 원인으로 등장하고 있다. 인슐린 분비부족도 중요한 문제지만 인슐린 저항성도 중요한 문제라 함께 인식해야 한다. "인슐린 저항성이 높은 환자는 허리둘레가 굵고 피검사 시 중성지방 수치가 높다" "비만과 대사증후군 환자들에게는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인슐린 저항성은 C-펩타이드 측정하는 것이 임상현장에서는 일반적이다.


 C-펩타이드 값은 우리 몸에서 일반적으로 분비가 되는 인슐린 양"이다. "공복 시 C-펩타이드 값이 1.1ng/mL 이하면 인슐린 분비가 부족하다고 본다. 동시에 혈당이 높다는 것은 인슐린 저항성 때문에 인슐린이 잘 작용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비만을 동반한 젊은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40세 미만 당뇨병 환자의 특징은 비만하고, 인슐린 저항성이 더 큰 사람이 많다", "이들의 경우 당뇨병을 잘 조절해 합병증 없이 살아야 하는 기간이 길어야 한다.  당뇨병 약제를 잘 선택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의 약제로  TZD 계열 약물인 피오글리타존이 이다. 메트포르민(MET)이 부분적으로 작용하지만 말초에서의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능력은 TZD 계열의 약제뿐이다.


지방과 관련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는 TZD만 갖고 있다. 다른 약제들도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가 있다고 주장하지만, 혈당이 떨어지면서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이다. "인슐린 저항성 개선이 혈당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것과 인슐린 저항성 자체를 개선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다. 지방과 관련한, 주변 인슐린 저항성 개선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TZD 밖에 없다"


TZD 계열의 약물을 쓸 때 어려운 점 중 하나가 약간의 체중증가가 있다는 것인데 체중감소 효과를 지닌 SGLT-2억제제 병용요법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오글리타존+SGLT-2억제제 복합제의 경우 인슐린 저항성이 크고 비만한 젊은 당뇨병 환자에게 효과적이라고 본다. "TZD 계열 약물을 썼을 때 우려사항으로 알려진 부종이나 심부전을 SGLT-2억제제가 확실히 줄여 줄 수 있고 그 외에 체중 감소 등 대사적 기전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피오글리타존+SGLT-2억제제 복합제가 출시되고있다.,, 피오글리타존+SGLT-2억제제 복합제를 우선 처방하고 메트포리민 양을 조절하는 방식을 고려해볼만 하다.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