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4.2℃
  • 맑음강릉 -7.8℃
  • 맑음서울 -11.0℃
  • 맑음대전 -9.9℃
  • 맑음대구 -6.4℃
  • 맑음울산 -5.9℃
  • 맑음광주 -6.8℃
  • 맑음부산 -5.6℃
  • 흐림고창 -9.7℃
  • 구름많음제주 1.6℃
  • 맑음강화 -14.0℃
  • 흐림보은 -12.1℃
  • 맑음금산 -11.1℃
  • 구름많음강진군 -5.4℃
  • 맑음경주시 -6.6℃
  • 맑음거제 -4.3℃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비만

 


비만은 체내에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이다. 체지방은 성, 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성인의 경우 남자는 체중의 25%, 여자는 33% 보다 클 때 비만으로 정의한다(표 1). 체지방은 생체전기저항 측정기(BIA), 골밀도 측정기(DEXA), CT나 MRI를 이용한 방법 등으로 측정할 수 있으나, 고가의 장비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쉽게 이용하기 어렵다. 

 체중이 일정 수준을 넘어 증가한 것을 과체중(overweight)이라 한다. 과체중을 판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표 2). 첫 번째는 생명보험 자료를 이용, 같은 성, 연령 및 신장에서 가장 낮은 사망률을 보인 체중을 이상 체중으로 하여, 상대 체중(relative weight)을 구하는 방법이다. 이상 체중을 아래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구하기도 한다. 


 표 1. 체지방에 따른 비만의 기준 

 기준

남자

여자

 정 상

12~20%

20~30% 

 경 계

21~25% 

31~33% 

 비 만

〉 25%

〉 33%


표 2. 과체중을 판정하는 방법

● 상대 체중 = (실제 체중/이상 체중) × 100

● 체질량 지수 (BMI) = 체중(kg) /{신장(m)}2


 이상 체중 = (신장 100) × 0.9


 두 번째는 체질량 지수(BMI)를 구하는 방법이다. 체질량 지수는 체내 지방량 정도를 잘 반영할 뿐 아니라, 신뢰도가 높아 연구나 집단간 비교 목적에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체질량 지수를 이용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운동 선수나 보디빌더는 근육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체질량 지수가 실제 치지방량보다 높게 나온다. 임신 혹은 수유 중인 여성, 성장기 어린이, 노인, 키 작은 사람 등은 체질량 지수가 실제보다 높게 혹은 낮게 나온다. 연구에 의하면 체질량 지수가 25 이상인 경우에는 체내 지방량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오지만, 25 미만에서는 낮게 나타나 체질량 지수 정상군에서는 개개인의 체지방량을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는 제한점이 있다. 

 표 3은 체질량 지수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의 분류이다. 우리 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인들의 경우 서구인들에 비해 체격이나 제지방 체중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25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늘어난 지방이 축적되는 부위도 남녀간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은 둔부와 허벅지 부위에 지방이 많이 쌓이는 반면, 남성은 허리 부위에 지방이 붙는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상체 비만(복부 비만)을 남성형 비만, 하체 비만을 여성형 비만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 두 형태는 남녀 모두에게서 나타난다. 특히 폐경기 이후의 중년 여성들은 복부 비만 발생 위험이 높다.. 복부 비만은 제2형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관상동맥 질환의 독립적인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복부 비만은 컴퓨터 촬영(CT, MRI)으로 진단을 내리지만, 일반적으로 허리 둘레를 측정하여 이를 복부 비만의 진단 기준으로 삼는다. 허리 둘레는 복부 지방량을 반영하는 아주 유용한 지표이다. 연구에 의하면 허리 둘레는 체질량 지수보다 질병 발생 위험을 더 잘 반영하며, 특히 체질량 지수가 25 미만이 경우에도 허리 둘레가 크면 질병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허리 둘레는 성별, 연령별, 인종별 차이가 크다. 미국 비만 진단지침서에서는 유럽에서의 연구 결과를 근거로 남자 102 cm(40in), 여자 88 cm(35in) 이상을 복부 비만의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인들은 체격 조건이 서구 사람들보다 작으므로 WHO에서는 아시아인들의 복부비만 진단기준을 남자 90 cm, 여자 80 cm 이상으로 정해 놓고 있다(표 4).


 표 3. 체질량 지수에 따른 성인에서의 과체중 및 비만의 분류(WHO)

 분류

체질량 지수 (BMI)

 비만관련 질병 발생 위험도

 저체중

〈 18.5

낮음 

 정상 범위

18.5~24.9 

평균 

 과체중

25.0~29.9 

약간 높음 

     비만

≥ 30.0

 

       비만 I

30.0~34.9 

높음 

       비만 II

35.0~39.9 

매우 높음 

        비만 III

≥ 40

극히 높음 


표 4. 허리 둘레에 따른 비만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WHO)

                                                                     비만 관련 질환의 발생 위험

                                                         증가                                   두드러진 증가

남 자

≥ 94 cm

≥ 102 cm

 여 자

≥ 80 cm

≥ 88 cm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