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제로콜라 , 당뇨인에게 과연 괜찮을까?

제로콜라 대체 음료추천
허브차와 과일차: 허브차와 과일차는 카페인이 없거나 매우 적고, 인공첨가물이 들어있지 않아 건강에 부담 없는 음료다. 예를 들어 카모마일, 페퍼민트, 루이보스 차 등은 소화 개선과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을 준다. 과일차는 딸기, 블루베리, 레몬 등 천연 과일을 우려내 달콤하면서도 신선한 맛을 낼 수 있다. 따뜻하게 또는 아이스 형태로 즐기면 다채로운 맛과 향을 느낄 수 있어 제로콜라 대신 좋은 대체 음료이다.

제로 콜라는 설탕 대신 인공 감미료를 사용하여 단맛을 내는 무설탕 탄산음료로, 다이어트나 건강을 신경 쓰는 사람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그러나 제로 콜라를 많이 마시는 것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논란이 있다.  과연 당뇨병환자들에게  제로콜라가 안전한가? 제로 콜라의 잠재적인 부작용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서울아산병원 내과 우창윤 교수가 제로음료에 과하게 의존하지 말 것을 경고했다.


지난 18일 유튜브 채널 ‘안녕하세미’에 출연한 우창윤 교수는 “제로 음료를 먹으면 단 게 더 당기냐”는 질문에 “그럴 수 있다”고 답했다. 우 교수는 “단맛의 자극이 자꾸 있으면 단맛을 잘 못 느끼게 된다”며 “인공감미료를 넣은 제로 음식들이 혀는 단데 혈당 반응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 뇌는 혈당을 올리기 위해 단맛을 좋아한다”며 “뇌는 단맛을 기다리는데 혀만 단맛을 느끼고 뇌까지 안 오니까 섭취를 더 하라고 신호를 보내서 단 음식이 더 당기는 거다”라고 말했다.



우창윤 교수의 설명을 들은 박세미는 “제로 음료도 당을 더 불러일으킬 수 있으니까 조심해야겠다”고 말했다. 제로 음료의 위험성에 대해 우 교수에게 직접 물었다.


우창윤 교수는 두 가지 요인 때문에 단 음식을 더 찾는다고 전했다. 첫 번째로, 영상에 나오듯이 단맛을 느끼는 혀와 달리 체내 혈당 반응은 없기 때문에 뇌에서 단 음식을 더 원하게 된다. 특히 이 현상은 단 음료를 좋아하는 비만한 사람들에게 자주 발견된다. 우 교수는 “뇌MRI를 찍었을 때 비만한 사람들은 제로음료를 마신 후 배고픔을 느끼는 중추가 반응했다”며 “정상 체중인 사람은 단 음식을 더 찾는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혀가 단맛에 적응하는 것도 단 음식에 대한 욕구를 증가시킨다. 혀는 우리 신체의 가장 민감한 기관 중 하나로, 강한 자극이 있으면 단맛을 느끼는 수용체의 수가 감소한다. 이로 인해 단맛에 대한 민감도가 떨어져서 단맛을 내는 음식에 대한 갈망이 커질 수 있다. 최근 통계를 보면 제로 음료에 인공감미료를 20~30% 더 쓰고 있어서 전반적으로 더 단맛이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일상생활에서 단 음식을 먹어도 단맛을 덜 느끼게 되고, 더 강한 단맛을 찾게 된다.


제로 음료를 마신 후 단 음식을 계속 먹으면 여러 건강 문제를 겪을 위험이 있다. 대표적으로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생길 수 있다. 단 음식에 들어있는 과당이 간에 축적되면서 발생한다. 장내 세균 불균형을 일으켜 장 기능도 떨어진다. 이외에도 당뇨병, 심혈관질환, 비만 등의 위험이 커진다.


제로 음료의 단점에도 불구하고 그 인기는 식지 않고 있다. 비만 때문에 탄산음료를 끊던 사람들도 제로 음료는 매일 한두 캔씩 마시는 모습을 보인다. 우창윤 교수는 “제로 음료도 결국 내장지방 축적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끊어야 한다”며 “설탕보다 건강에 좋다고는 해도 인공적인 단맛은 줄이고 섭취하는 단맛의 총량을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로콜라


제로콜라는 설탕 대신 인공감미료를 사용해 칼로리가 거의 없는 탄산음료입니다. 다이어트 음료로 인기를 끌고 있지만, 제로콜라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많다. 




인공감미료와 체내 대사 영향

제로콜라에는 아스파탐, 수크랄로스 등 인공감미료가 들어있다. 인공감미료는 설탕보다 훨씬 강한 단맛을 내지만, 체내에서 분해되는 과정이 설탕과 다르다. 연구에 따르면 인공감미료는 대사 기능에 영향을 미쳐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혈당 조절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당뇨병 위험 증가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연구는 인공감미료가 식욕 조절을 방해해 오히려 과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있다. 단맛을 계속 섭취하면 뇌가 단맛에 중독되어 더 많은 칼로리 섭취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제로콜라를 다이어트 음료로 무제한 섭취하는 것은 건강에 오히려 악영향이 될 수 있다.

소화기계 및 위장 건강 문제

제로콜라 섭취는 위장에 자극을 줄 수 있다. 탄산가스가 위를 팽창시키고 위벽에 부담을 주면서 속쓰림, 소화불량, 위산 역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특히 위염이나 위궤양 같은 위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제로콜라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또한 인공감미료가 장내 미생물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장내 미생물은 소화와 면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인공감미료는 유익균을 줄이고 유해균을 증가시켜 장 건강을 저해할 수 있다. 장 건강이 나빠지면 만성 염증과 면역력 저하로 이어질 위험도 있다.

치아 건강에 미치는 영향

제로콜라에는 설탕이 없지만, 탄산 성분과 산도가 높아 치아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탄산은 입안의 pH를 낮춰 산성 환경을 만들고, 이는 치아 법랑질을 부식시켜 치아 부식과 충치를 유발할 위험이 있다. 특히 제로콜라를 자주 마시거나 빨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음용하면 치아가 탄산에 지속 노출되어 손상 가능성이 커진다. 따라서 제로콜라를 마신 후에는 물로 입을 헹구거나 양치하는 것이 치아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된다.

신경계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제로콜라에 들어 있는 카페인과 인공감미료는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카페인은 과다 섭취 시 불안, 불면증, 심장 두근거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 제로콜라는 일반 콜라보다는 카페인 함량이 적지만, 다량 섭취 시 영향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아스파탐과 같은 인공감미료는 일부 사람에게서 두통이나 집중력 저하, 기분 변화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도 있다. 특히 민감한 사람이나 어린이, 임산부는 섭취량에 주의해야 한다.

제로콜라, 적당히 즐기면서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 제로콜라는 칼로리가 적어 다이어트에 유리하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인공감미료와 탄산의 부작용이 무시할 수 없다. 대사 장애, 소화기 문제, 치아 손상, 신경계 영향 등 다양한 부작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당한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만성질환이 있거나 위장 건강이 약한 사람은 제로콜라 섭취를 줄이거나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충분한 수분 섭취와 균형 잡힌 식사를 병행하는 것이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제로콜라를 마실 때는 음용 횟수를 제한하고, 음용 후 물로 입을 헹구는 등 치아 관리를 병행하는 것을 권장한다. 건강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즐기는 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이다.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