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191) | 서울 (44) | 경기 (34) | 인천 (5) | 충북 (5) | 충남 (5) |
대전 (8) | 전북 (5) | 전남 (4) | 광주 (6) | 경북 (12) | 경남 (10) |
대구 (9) | 부산 (23) | 울산 (3) | 강원도 (8) | 제주 (3) | 미국 (3) |
고려대의료원 소아청소년당뇨교실은 10-11일 ‘제19회 참살이캠프’를 개최했다.만남의시간 프로그램에 참여 중인 1형당뇨 환아들과 참가자들. 사진:고려대의료원 참살이캠프는 1형당뇨 환아들이 스스로 질병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 치료 의지를 향상할 목적으로 지난 2006년부터 처음 시작돼 올해까지 19년 동안 이어져 왔다. 서울 영등포 하이서울유스호스텔에서 진행된 이번 캠프에는 1형당뇨 환아를 비롯해 총 63명이 참여했다. 고려대학교 안암·구로·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및 간호사, 의료사회복지사, 영양사가 전문적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했다. 고려의대 재학생 자원봉사자와 치료 레크리에이션 전문가 및 1형당뇨 성인환자 10명으로 구성된 멘토그룹이 함께해 1형당뇨라는 공통 관심사를 바탕으로 자조 모임의 기회를 가졌다. 참가자들은 ▲만남의 시간 ▲집단상담 ▲미니올림픽 ▲합창공연 ▲참살이 페스티벌 ▲당뇨관리 관련 퀴즈 윷놀이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과 치유의 시간을 보냈다. 캠프를 총괄한 이영준 위원장(고려대 안산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은 “꾸준한 관리와 치료 의지가 가장 중요한 질병인 만큼, 아이들이 건강한 미래를 맞이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지속해
치매예방·건강수명 도움 … ‘급여화’ 주장 박주민·김영배 의원, 13일 ‘노인성 난청 국가지원방안 마련 위한 토론회’ 개최 ‘노인성 난청 국가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가 13일 열렸다. 보청기를 통해 노인성 난청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이 치매 등 노인성 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청각장애인이 아닌 이상 보청기 구입에 대한 지원은 전무한 상태로 구입은 쉽지 않다. 이에 이비인후과전문의 등은 노인 보청기 급여화가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13일 더불어민주당 박주민(보건복지위원장)·김영배 의원 주최, 대한이과학회·대한이비인후과의사회·대한난청협회 주관으로 열린 ‘노인성 난청 국가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에서도 같은 목소리가 나왔다. 우리나라는 지난해말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노인성 난청환자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미국의사협회에 따르면 정상 청력에 비해 난청 환자의 치매 위험율이 20% 증가하는 반면, 난청인에게 보청기를 사용했을 때 치매 위험이 약 12%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날 발제를 맡은 대한이과학회 서재현 학술이사(가톨릭대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먼저 65세 고령인구는 계속 증가세를 보여 2035년 전체
강동성심병원은 심장혈관내과 한규록 교수가 2025년 대한심장학회 제 68대 회장으로 선출됐다고 1월 13일 밝혔다. 대한심장학회 제 68대 한규록 회장(강동성심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 임기는 2025년 1월 1일부터 1년 간이다. 한규록 신임회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강동성심병원 심장혈관내과 과장을 역임했다. 주 분야인 협심증과 관상동맥중재술 치료와 연구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특히 국내에 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을 최초로 도입한 선구자로서 급성 심근경색 및 심혈관 중재시술의 권위자로 평가받고 있다. 한규록 교수가 몸 담고 있는 강동성심병원 심장혈관센터는 2024년 기준 요골동맥 관상동맥조영술 17,700례, 관상동맥중재술 6,000례 등을 시행한 바 있다. 이외에도 한 교수는 대한심혈관중재학회 이사장, 대한심장학회 보험이사, 대한중재시술학회 이사 등을 역임하는 등 다양한 분야의 임상 연구와 학술 활동을 통해 국내 심장학 발전에 힘써왔다. 한규록 신임회장은 "대한심장학회가 60여 년간 쌓아온 학문적 성과를 더욱 공고히 할 것"이라며, "학회 내부 소통과 화합을 통해 심장학의 지속적인 발전도 도모하겠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보도자료
2015년 5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SGLT2 억제제가 당뇨병성 케톤산증(DKA)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SGLT2 억제제는 혈중 포도당 순환량을 감소시켜 내인성으로 분비되는 인슐린이나 바깥에서 인위적으로 투여한 저용량의 외인성 인슐린 자극을 약하게 만들 수 있다. SGLT2 억제제는 특히 정상혈당성 DKA(euglycemic DKA, euDKA), 즉 혈당 수치가 올라가지 않는 당뇨병성 케톤산증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는 케톤체가 세뇨관에서 흡수되기 때문이다. 케톤산증의 위험이 특히 높아지는 시기는 수술 전후의 시기이다. 수술 전에는 SGLT2 억제제 투여를 중단해야 할 수 있으며, 신체 상태가 양호하며 수분량도 충분하고, 식사를 규칙적으로 할 수 있는 경우에만 계속 사용하도록 권장된다. 2015년 9월, FDA는 카나글리플로진(인보카나)과 카나글리플로진/메트포르민(인보카멧)과 관련된 경고를 냈는데, 이는 두 약제가 골밀도를 감소시켜 골절 위험을 증가시킨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단, SGLT2 억제제를 메트포르민과 병용 투여하는 경우 설폰요소제나 인슐린 같은 다른 제2형 당뇨병 치료제에 비해 저혈당증의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는 장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