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7.0℃
  • 구름조금강릉 9.5℃
  • 서울 8.5℃
  • 흐림대전 8.2℃
  • 흐림대구 8.2℃
  • 구름많음울산 7.5℃
  • 흐림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0.0℃
  • 흐림고창 9.8℃
  • 흐림제주 10.4℃
  • 흐림강화 6.6℃
  • 흐림보은 5.1℃
  • 흐림금산 6.2℃
  • 흐림강진군 9.5℃
  • 구름조금경주시 5.5℃
  • 흐림거제 7.8℃
기상청 제공
메뉴 회원가입
닫기

윤건호건강칼럼

전체기사 보기

한줄뉴스




배너
윤건호 교수, 아시아 당뇨의 특징을 규명해 전 세계 내과 의사들이 보는 교과서인 ‘해리슨’(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내용을 일부 바꾸었다
‘당뇨 교과서’를 바꾼 의사 윤건호 서울성모병원 교수 “내가 의대 다닐 때인 1980년만 해도 당뇨병은 희귀병이었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가 입원하면 학생들이 찾아가서 ‘어떻게 이런 희귀한 병에 걸리셨냐’고 물어봤다.” 윤건호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인터뷰에서 40년 전 에피소드부터 풀어놓았다. 그에 따르면 우리나라 당뇨병 유병률에 대한 첫 연구는 1971년. 당시 성인 유병률은 1.5%였다고 한다. 당시 식품영양학을 전공한 교수들은 TV에 나와 ‘우리는 고기를 너무 안 먹어 영양 결핍이다’ ‘삼겹살을 왕창 먹어도 된다’며 육식 섭취를 권장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당뇨병 인구는 1980년대 중반 이후 폭발적으로 늘어나 1990년대 초반에 유병률이 10%에 육박했다. 현재 당뇨병 인구는 약 600만명. 유병률은 14%다. 반세기 만에 당뇨병 환자가 10배나 급증한 것이다. 실명, 하지 절단, 심장마비 몰고 온다 당뇨병은 식사로 흡수된 포도당이 세포로 가지 못하고 혈액 속에 너무 많이 존재해 소변에도 당이 많아지는 질환이다. 혈액 속 포도당 농도가 매우 높아지기 전인 초기 당뇨병 상태에서는 별다른 증상을 유발하지 않아 장기간의 무증상 기간을 보낸다. 문제는

뉴스

더보기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