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적인 환자 평가는 병력청취, 신체검사, 검사실 검사와 같은 임상적 평가에 중점을 두고 진단하고 치료를 하게 되나 노인 환자 진료 시에는 노인병의 특징을 반영하여 다른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노인 환자는 한 가지 질병보다 동시에 여러 질병이 함께 발생하고, 질병의 증상과 징후가 불분명하거나 비전형적이고, 만성적이고 퇴행성 질환이 많으며, 노인병의 발생에는 의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 환적, 정신적, 경제적 요소와 함께 작용하므로 노인 환자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포괄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한편 노인성 질환이 대부분 만성 퇴행성이므로 완치보다는 관리에 중점을 두어야 하며 궁극적인 노인 환자 진료의 목적은 노인 혼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최대한 보존해 주는 것이다. 따라서 노인 환자 평가에서는 '기능 평가'의 중요성이 전통적인 임상적 평가 이상으로 강조되어야 한다.
이처럼 임상적 질병 평가와 기능 평가를 함께 시행하는노인 환자 평가를 포괄적 노인 평가
(CGA, ComprehensiveGeriatric Assessment)라고 한다.
이 장에서는 노인 환자진료의 주요 영역인 노인 환자 특성을 고려한 포괄적 노인평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1. 노인병과 노인 환자의 특성: 노인증후군
1. 노인병과 노인 환자의 특성: 노인증후군
1) 노인 질환의 특성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생리적 노화 변화와 질병 누적현상에 따라 노인들에게 나타나는 질환의 특성은 다음과같다.
(1) 질병 다발성: 여러가지 질병을 동시에 갖고 있다.
(2) 질병의 난치성: 만성퇴행성 질환으로 완치가 어렵고 합병증을 동반하기 쉽다.
(3) 치료 부작용 증가 약물 복용과 치료에 따른 부작용 위험성이 높고, 인지 기능(정신) 장애가 쉽게
발생한다.
(4) 기능 장애 동반: 일상생활 활동 기능 저하의 위험이 높아, Care(보살핌), 재활 등의 욕구가 많다.
(5) 의료외적 요인과 연관성: 사회 경제적 요인에 큰영향을 받는다.
(6) 비전형적 증상 증상의 애매성) 이러한 특성들의 복합작용에 따라 노년기 질환의 발현 양상은 증상이나타나지 않거나(무증상), 증상이 애매하고 비전형적인 경우가 매우 많다. 결국 '노화에 따른 생리기능의 감퇴(항상성유지 기능의 손상)와 질병 다발성에 따른 기능 저하 양상'의 상호작용에 따라 어떤 건강문제가 생기든, 원인이 무엇이든 노년기 질병은 다음의 양상을 보인다.
•Weakness/Fatigue/Physical_function declining(dec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