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는 지난 9일 ‘달빛어린이병원 제도 폐지, 어린이 진료시스템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아동병원협회 "어린이 진료 체계 시스템, 전면 재개편해야"
아동병원장들이 소아 필수 의료시스템을 살리기 위한 범부처의 대책을 요구하고 나섰다.
이를 위해 국무총리 산하 ‘소아필수의료 살리기 특별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는 9일, 서울드래곤시티호텔에서 ‘달빛어린이병원 제도 폐지, 어린이 진료시스템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아동병원협회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오픈런과 마감런 등 소아 환자와 보호자들이 큰 고통을 겪는 것은 어린이 진료 체계 붕괴에 따른 것으로 이를 바로잡기 위해선 어린이 진료체계 시스템을 전면 개편해야한고 주장했다.
▲ 대한아동병원협회(회장 박양동)는 지난 9일 ‘달빛어린이병원 제도 폐지, 어린이 진료시스템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었다.
강은식 부회장은 “의료진 등의 탈 아동병원화로 인해 앞으로 야간 및 휴일 진료 시간 단축을 검토하고 있는 아동병원이 전체의 71.4%에 달할 정도”라며 “더 심각한 것은 2~3개월 내 이를 시행하겠다는 비율이 30%가 넘으며, 3~5개월 이내 45%까지 더하면 5개월 이내 아동병원의 대부분이 소아진료 야간 및 휴일 진료에서 철수하게 되는 사태가 도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인규 부회장도 “정부가 의대정원 확대를 추진해 필수의료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데, 이는 의사수의 부족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닌, 필수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여건과 환경이 마련되지 않아 생긴 문제”라며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지원율 상승 대책과 함께 현재 아동병원이 활성화돼 소아 필수의료 붕괴를 막고 소아청소년과를 살리는 정책이 도모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이홍준 정책이사는 “정부가 달빛어린이병원을 100곳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진료현장에서의 반응은 지정 반납을 고려할 정도로 열악하다”며 “일부 하드웨어만 확대하는 전시행정으로는 달빛어린이병원이 제 역할을 다할 수 없으므로 정책 입안은 최소한 달빛어린이병원 진료현장을 직접 살펴본 후 합리적 방안을 마련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아동병원협회는 어린이 진료시스템 정상화 방안으로 ▲어린이건강기본법 제정 ▲아동건강정책국 신설 및 1339조직 신설 ▲국립대 병원 소아 응급, 소아 종양, 신생아, 소아 중환자, 소아 외상 분과 교수 확보 위한 정원 조정 ▲전국 200여개 시군구 소아인구 비례 1차, 2차, 3차 소아의료기관 역할 재정립 등을 제안했다.
특히 ▲1, 2, 3차 의료기관 소아 진료비 재정립 ▲거점 응급의료기관 사후 보상제도 확대 ▲2016년 설립 어린이 공공전문진료시스템 전국 모든 상급종합병원까지 확대지정 ▲소아청소년과 인적자원 충원 ▲배후진료 교수진 충원 방안 마련 ▲입원 전담의와 정규직 교수 임금 역격차 해소 ▲경증 환자 수용가능 지역 1, 2차 의료기관 지원 ▲24시간 콜센터 제도 폐기 ▲행동발달증진 지역센터 설립 구축을 촉구했다.
박양동 회장은 “요즘 아동병원 진료현장은 아비규환으로 정부는 소아 진료를 비롯한 필수의료 대책을 발표했지만 진료현장에선 효과가 전혀 없다”며 “환아 보호자들은 수개월째 지속되는 2시간 이상 대기에 아동병원 의료진과 직원들에게 욕설과 불만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이로 인해 의료진과 직원들의 탈 아동병원화 사례가 증가하고, 그동안 소아진료의 중심에서 버팀목 역할을 해오고 있는 아동병원의 진료 차질이 심각히 우려되고 있다”며 “개선안을 마련하고 정부 측에 의견을 여러 번 전달했지만, 현장의 상황은 개선되지 않고 더욱 악화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어 “부족한 소아진료 인력은 충원되지 않고 정부는 하드웨어 확대하는 정책에만 집중하고 있는데, 근본적인 인적자원에 대한 해법을 제시 못하고 있다”며 “소아청소년과 의사들은 국민과 함께 아이들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할지에 대한 심도있는 고민과 정책 개발을 해주길 정부에 간곡히 요청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