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이상지질혈증* 치료에 사용하는 siRNA** 주사제 ‘렉비오프리필드시린지(인클리시란나트륨)’를 6월 20일 허가했다고 밝혔다. 이상지질혈증 : 혈중 지질 성분이 비정상적으로 높아 인체 생화학적 대사 경로에 결함(이상)이 발생하는 질환(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은 높고, 고밀도 콜레스테롤(HDL)은 낮은 상태) ** siRNA(short interfering RNA, 짧은 간섭 리보핵산) : 특정 mRNA에 상보적으로 결합·절단해 단백질 생산을 억제 이 약은 기존 일차 치료제인 스타틴계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이상지질혈증 환자에게 기존 치료제와 병용해 사용되며, 연 2~3회 투여(주사)하는 약물 순응도 높은 용법(최초 2회 3개월 간격 이후 6개월 간격)으로,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간에서 콜레스테롤이 생성되는 것을 방해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고지혈증 치료제(아토르바스타틴, 심바스타틴, 로수바스타틴 등 이 약의 주성분인 인클리시란나트륨은 화학적으로 합성된 이중나선 구조의 siRNA으로 간세포 내에서 PCSK9* 단백질의 합성을 억제함으로써 혈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 수치를 낮춘
닥터 조홍근 박사의 고지혈증 식사로 조절하기 1편 고지혈증(콜레스테롤)은 협심증 심근경색증을 일으키는 동맥경화증의 제일의 위험인자입니다. 따라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것은 본인이 현재 병이 있던 없던, 건강하기 위해 신경 써야 할 이슈입니다. 고지혈증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식이요법 원칙을 지켜보세요: 지방 섭취량 제한: 하루 열량섭취 (식사량) 중에서 지방에 의한 섭취를 30% (혹은 20%)까지 낮춥니다. 이때 다불포화지방, 단불포화지방, 포화지방에 의한 열량 섭취를 각각 10%로 한다는 원칙을 따릅니다.포화지방 대 불포화지방 비율 조절: 포화지방에 대한 불포화지방의 비율을 높이도록 합니다.식이 섬유소 증가: 하루에 과일, 채소 등의 식이 섬유소를 35g으로 증가시킵니다.식사로 조절하는 것 외에도, 간식이나 후식으로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감자, 고구마, 빵 등을 추가로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콜레스테롤은 운동으로 수치가 줄어들지가 않습니다. 반듯이 식사요법으로 진행 해야 합니다.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고지혈증을 관리하세요!
당뇨병 환자들은 혈관에 많은 고지혈증 증상을 갖는 있는 분들이 많다. 특히 LDL 수치를 100 이하로 낮추도록 하여야 한다. 출처/의학채널 비온뒤
고지혈증은 혈액 내에 지방질인 콜레스테롤이 과다하게 존재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여기에는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저밀도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고밀도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등이 포함됩니다. 정상 수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총 콜레스테롤: 정상 <200 mg/dL, 경계 200~239 mg/dL, 높음 ≥240 mg/dLLDL 콜레스테롤: 정상 <100 mg/dL, 경계 100~129 mg/dL, 높음 ≥160 mg/dLHDL 콜레스테롤: 정상 ≥60 mg/dL, 낮음 <40 mg/dL중성지방: 정상 <150 mg/dL, 경계 150~199 mg/dL, 높음 ≥200 mg/dL고지혈증 진단은 총 콜레스테롤이 240 mg/dL 이상이거나 중성지방이 200 mg/dL 이상일 때 가능합니다. 치료 목표는 위험인자의 개수와 기저질환의 유무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위험인자가 없는 경우 LDL 콜레스테롤을 160 mg/dL 이하로, 위험인자가 2개 이상인 경우는 130 mg/dL 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고지혈증 환자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고지혈증은 혈액 속 지방이 비정상적으
PCSK9 신약 후보 '레카티시맙' 임상 공개, "LDL-C 절반 이상 낮춰" 미국심장협회(AHA) 로고. 연 4회 주사만으로 고지혈증(이상지질혈증) 관리가 가능한 신약 성분이 중간 임상평가에 성공했다. 미국심장학회에서 새로운 신약 후보물질 ‘레카티시맙(recaticimab)’은 체내 나쁜 콜레스테롤로 알려진 저밀도지질단백질(LDL-C) 생성을 억제하는 차세대 PCSK9 주사제로 평가된다. 최대 3개월 간격의 약물 투여로 LDL-C 수치를 절반 이상 낮췄으며, 기존 PCSK9 주사제들이 가진 투약법(2주 혹은 4주 간격 주사)보다 편의성도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열린 올해 미국심장협회 연례학술대회(AHA 2023)에서는 PCSK9 주사제로 개발 중인 레카티시맙의 주요 임상 결과가 공개됐다. LDL-C를 낮추기 위해 투약하는 PCSK9 억제제는 강력한 효과에도 불구하고 몇 주 간격으로 투약해야 한다는 점에서 복약순응도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PCSK9 억제제 신약후보물질 레카티시맙(recaticimab)은 최대 3개월에 한번 주사로 LDL-C를 50% 이상 안전하게 낮춰 환자의 편의성을 끌어올렸다고 말했다 임상은 중등도 또는 고강도
고지혈증[hyperlipidemia]정의고지혈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지방성분 물질이 혈액 내에 존재하면서 혈관벽에 쌓여 염증을 일으키고 그 결과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상태이다. 최근에는 비정상적인 혈액 내 지질상태를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증상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일부에서 합병증이 발생하면 그와 연관된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예를 들어 혈액 내에 중성지방이 크게 증가하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췌장염의 증상은 복통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일부 환자의 경우 아킬레스건에 황색종(xanthoma; 콜레스테롤이나 이와 함께 다른 지질(脂質)이 피부에 침착하여 생기는 황색의 종양)이 생길 수 있다. 눈꺼풀에 황색판종(xanthelasma; 눈꺼풀에 생기는 가장 흔한 황색종의 형태)이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해 혈액 내에 특정 지질이 증가하여 고지혈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지만, 비만이나 술, 당뇨병 등과 같은 다른 원인에 의해서도 고지혈증이 생길 수 있다. 관련신체기관혈관 진단혈액 내의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측정한다. 검사금식을 한 후 시행하는 채혈검사가 필요하다.
고지혈증은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가 높은 경우에 발생하는 대사 질환입니다. 이는 혈액 내 지방질이 과도하여 혈관벽에 침착되는 것을 의미하며, 심혈관 질환을 비롯해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고지혈증의 증상은 다양하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별한 증상 없음: 고지혈증의 큰 특징은 증상이 없다는 것입니다. 혈액 내 지질 수치가 많이 높지 않은 초기 단계에는 증상이 전혀 없습니다. 그러나 눈에 띄는 증상이 없더라도 혈액 속에 지방이 축적되면서 심혈관계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심장 혈관이나 뇌혈관이 막힐 수 있는 상태입니다. 고지혈증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약물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주로 사용되는 약물은 스타틴 계열입니다. 스타틴은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에 개입하여 LDL-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효과를 가지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약 중 하나입니다. 그 외에도 **에제티미브 (ezetimibe)**와 같은 약물은 소장에서 콜레스테롤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혈중 LDL-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넥스레톨 (Nexletol)**이라는 새로운 고지혈증 치료제도 등장했습
최근 콜레스테롤은 건강을 해치는 성분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뇌나 신경조직, 성호르몬 등의 생성에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다. 또 세포를 싸고 있는 세포막의 성분 중 약 20퍼센트가 콜레스테롤이다. 이처럼 콜레스테롤은 인체에서 매우 중요한 물질로, 간장에서는 하루 약 1그램 정도가 만들어지고 음식물의 섭취에 의해 흡수되는 양은 0.4그램에 지나지 않는다. 체내 생성과 섭취한 음식에 의해 콜레스테롤의 양은 증가하는데, 이것이 지나치면 생성을 억제하는 구조가 된다. 따라서 우리 몸 속에서 본래 생성되는 콜레스테롤이 혈관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라 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당뇨병이나 비만, 알코올의 과잉섭취 등 어떤 영향에 의해서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지나치게 증가하면 지질이상증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다. 지질이상증도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마찬가지로 두드러진 자각증상이 없기 때문에 느닷없이 심근경색을 일으킬 위험이 매우 높다. 따라서 지질이상증 진단을 받았다면 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음식물을 섭취할 때 가장 주의해야 하는 것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식품을 피하는 것이다. 콜레스테롤은 특히 달걀의 노른자나
대웅바이오, 고혈압 치료제 ‘텔미사르탄군’ 리뉴얼 후 매출 100억 돌파 대웅바이오는 고혈압 치료제 ‘트윈베타’와 ‘텔미베타’ 시리즈가 리뉴얼을 통해 지난해 연매출 100억 원을 달성했다고 4일 밝혔다. 트윈베타와 텔미베타는 ‘텔미사르탄’을 주요 성분으로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지난해 리뉴얼을 통해 기존 PTP(Press Through Pack) 방식의 개별포장에서 병포장 형태로 복약 편의성을 개선하면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PTP는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으로 한쪽이 볼록하게 튀어나오도록 개별 포장한 방식이다. 지난해 리뉴얼에 따라 텔미사르탄 라인업은 한 개의 약포지에 다른 약제와 동봉이 가능해졌다. 이는 별도의 PTP 포장을 뜯어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어냈고, 복용 편의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그간 고령의 환자나 다수의 약제를 한꺼번에 복용하는 고혈압 환자의 경우 약제를 일일이 나눠 복약해야 하는 불편함을 겪어 왔다. 리뉴얼한 제품은 수분을 흡수하는 성분 특성 때문에 개별포장이 필요했던 기존 제형의 문제점을 지속적인 연구 개발과 개선 노력을 통해 극복한 것이 특징이다. 두 제품 모두 습기에 강한 정제로 변경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텔미사르탄은 고혈
성균관의대 안지인 교수팀,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제어 기전 최초 규명 안지인 교수 국내 연구진이 치매의 대표 병변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를 제어할 수 있는 분자적 기전을 규명, 산발성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새로운 치료 접근법을 제시했다. 아밀로이드 베타는 아밀로이드 전구 단백질(APP)에서 효소의 작용을 통해 절단되어 생성되는 조각으로, 이 단백질은 뇌에서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경향이 있으며, 세포에 독성을 유발하고 신경세포의 기능과 생존에 손상 을 준다. 산발성 알츠하이머는 유전적 변이(가족력) 없이 노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말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차순도)은 3일 “성균관의대 안지인 교수팀이 알츠하이머성 치매와 관련된 단백질인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와 EBP1 단백질 발현 변화에 따른 발병기전을 밝히고, 실제 환자와의 치매 유사도를 높인 동물모델을 제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를 통해, EBP1 발현 저하로 인한 독성 아밀로이드 베타 축척 및 인지 기능 장애 등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기전을 새로이 입증하고, EBP1 유전자를 제거한 마우스를 동물모델로 제시해 EBP1의 발현 유지를 통한 기능 보존이 기억
한양대병원은 최근 ‘2025년 전반기 정년퇴임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양대학교 윤호주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 한양대학교병원 이형중 병원장, 이항락 부원장 등 병원 주요 보직자와 교직원 130여 명이 참석해 정년퇴임자들의 헌신과 노고를 기리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윤호주 의무부총장 겸 의료원장은 격려사에서 “오랜 시간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하며 환자들에게 최상의 진료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해 온 정년퇴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한양대병원에 변함없는 관심과 애정을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이형중 병원장은 “항상 병원의 발전과 성장의 중심에서 헌신해온 여러분의 퇴임을 맞이하게 되어 아쉬움이 크다”며, “새로운 길에서도 그간 쌓은 경험과 지혜가 큰 도움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병원 봉직 기간의 공로를 인정해 17명의 퇴임자 모두에게 공로패가 수여됐다. 2025년 전반기 퇴직자는 다음과 같다. 마취통증의학과 김동원 교수, 내분비대사내과 김동선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김석현 교수, 간호국 강영의 부장, 윤인숙 부장, 류마행정지원팀 강오열 부장, 사회복지팀 성명순 과장, 원무팀 안창선 과장, 원무팀 박찬호 과장,
보건복지부, 3월21일까지 … 1차년도 지역 참여 의사 모집 추가 치매관리주치의 2차년도 시범사업에 참여할 의사와 의료기관을 모집한다. 24일부터 시작된 모집기간은 3월21일까지다.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환자가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치매관리주치의에게 치매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문제까지 체계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1차년도 시범사업은 2024년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22개 시군구에서 162개 의료기관(의사 203명)이 참여하고 있다. 시범사업에 등록한 환자수는 2713명(2024.11월, 심평원 자료제출시스템 등록 기준)으로 치매관리주치의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료와 관리를 받고 있다. 시범사업에서는 ▲환자 포괄평가에 따른 맞춤형 치료·관리 계획 수립(연 1회)▲치매환자와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대면 교육 및 상담(연 8회 이내, 10분 이상) ▲약 복용이나 합병증 발생 여부 등에 대한 비대면 관리(연 12회 이내, 전화 또는 화상통화) ▲거동 불편 등 치매환자에 대한 의사의 방문진료(연 4회 이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치매 증상과 그 외 건강문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시범사업 서비